유네스코와 손잡은 기업들의 속마음 🏛️ 알쓸U잡 | 알아두면 어디서든 쓸 데 있는 유네스코 잡학지식 이야기 |
|
|
로레알, 프라다, 루이비통 X 유네스코 = 🌏 🩷🌱 |
|
|
LVMH와 유네스코의 파트너십 하에 진행되고 있는 ‘벌을 지키는 여성(Women for Bees)’ 프로그램의 대모(godmother) 역할을 맡고 있는 배우 안젤리나 졸리가 2022년 캄보디아 현장에서 활동하는 모습 (이미지: 유네스코 영상 캡처) |
|
|
세계적 기업들이 자사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기부 등의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펼치는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에요. 그러한 기업들에게 지적 협력과 도덕적 연대를 바탕으로 평화를 추구해 온 유네스코는 언제나 매력적인 파트너이기도 하죠. 그렇기에 “돈만 낼게 알아서 해 줘”가 아니라 우리의 미래를 “함께” 열어갈 의지가 있는 파트너라면 유네스코와 손을 잡을 기회를 놓치지 않는답니다. 오늘은 유네스코와 손을 잡은 여러 파트너들 중에서 특히 도드라지는 활동을 펼쳐 온 기업들을 여러분께 소개해요. |
|
|
+ 로레알X유네스코 = 과학엔 ‘우먼파워’가 꼭 필요해요 |
|
|
세계적인 화장품 브랜드인 로레알 (L’Oreal)은 1998년부터 유네스코와 함께 로레알-유네스코 여성 과학자상을 시상해 오고 있습니다. 로레알은 과학 연구, 포용적 아름다움, 기후 행동 등 세 가지 분야에 초점을 맞춰 여성들이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고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유네스코와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해요. 그렇게 만들어진 로레알-유네스코 여성 과학자상은 이제 유네스코의 과학 및 성평등 분야에서도 돋보이는 사업 중 하나로 자리잡았어요. |
|
|
지금까지 과학 연구에 큰 업적을 남긴 공로로 이 상을 받은 여성 과학자는 127명에 이르고, 그중 7명은 노벨상까지 수상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의 유명희 박사와 서울대학교 김빛내리 교수가 각각 1998년과 2008년에 수상한 바 있고, 2020년에는 신미경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2022년에는 최소영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조교수가 전도유망한 신진 여성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인터내셔널 라이징 탤런트상’을 받기도 했어요. 이 파트너십은 단순히 상을 주는 것으로만 그치는 게 아니라 116개 이상의 국가에서 3,900명 이상의 여성 과학자들을 지원하면서 과학 분야의 진로를 고민하는 여성들에게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주고 있는데요. 여성 과학자들은 과학계가 신기술의 가속화와 인구 고령화, 생물다양성 위협과 같은 전 세계적인 도전에 대응하는 데 꼭 필요할 뿐만 아니라 더욱 평등한 세상을 만들어 가는 데도 큰 힘이 될 겁니다. 더욱 다양한 시각, 더욱 포용적이고 신선한 아이디어가 과학계에 넘쳐 흐를 수 있도록, 오늘도 연구실에서 땀을 흘리는 전 세계의 여성 과학자들에게 힘을 불어넣어 주세요! |
|
|
+ LVMHX유네스코 = 모두 함께 가꾸어야 할 생물권, 그리고 인간 |
|
|
루이비통, 디올, 불가리, 모엣샹동 등의 브랜드들을 거느린 세계 최대의 종합 명품 기업 LVMH는 2019년부터 유네스코의 ‘인간과 생물권 (Man and Biosphere, MAB)’ 프로그램과 파트너십을 맺고 전 지구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어요. 그중 하나는 아마존 열대우림 파괴 방지를 위한 브라질의 NGO인 FAS (Fight against deforestation)와 함께하는 ‘아마존 생물권보전지역 프로젝트’예요. ‘지구의 허파’라는 별명에 걸맞게 아마존 유역에는 볼리비아, 브라질, 에콰도르, 페루 등 4개국에 걸쳐 모두 8곳의 생물권보전지역이 있는데요. 나날이 줄어드는 아마존의 삼림 지역은 이곳에 사는 원주민을 포함한 130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2021년부터 유네스코와 LVMH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멸종 위협에 처한 생물종을 보존하고 이곳의 생태 환경을 지키면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모색할 역량을 갖춘 젊은 지도자들을 길러내는 등의 42개 이니셔티브를 지원했어요. LVMH 산하의 화장품 브랜드 겔랑 (Guerlain)을 통해 운영하는 ‘벌을 지키는 여성(Women for Bees)’ 프로그램도 주목할 만해요. 이 프로그램은 불가리아, 캄보디아, 중국, 에티오피아, 르완다 등 세계 곳곳에 있는 생물권보전지역 내에서 환경적·경제적인 이유로 경작지를 갖지 못한 여성들이 양봉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도모하고, 동시에 토종벌과 생태계 보전에도 힘쓰도록 돕고 있어요. 전 세계에서 꿀벌이 사라지게 될지도 모른다는 뉴스가 화제가 된 것도 벌써 몇 년 전의 일인데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유네스코는 2025년까지 전 세계 25개 생물권보전지역 내에 토종벌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새로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
|
|
알쓸U잡 키워드
인간과 생물권(MAB)프로그램이란?
MAB(Man and Biosphere) 프로그램은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겠다는 목표로 지난 1971년부터 시작된 정부 간 과학 프로그램이에요. 단순한 자연 보전만이 아닌, 그 안에서 생활하는 인간 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자연 생태계를 보전하겠다는 신선한 접근법을 채택한 MAB는 사회적·문화적·생태적 가치를 존중하는 개발을 특히 강조하고 있어요. 그에 따라 현재 전 세계에는 700곳이 넘는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이 지정돼 있고, 그 안에서 생활하는 2억 6천만 명의 사람들이 자연과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가는 모델을 실천에 옮기고 있어요. 한국에도 설악산(1982), 제주도(2002), 신안다도해(2009), 광릉숲(2010), 고창(2013), 순천(2018), 강원생태평화(2019), 연천 임진강(2019), 완도(2021) 등 9곳의 생물권보전지역이 있답니다. 흥미가 생긴다면 지난 2021년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MAB 50주년을 기념해 만든 영상도 함께 감상해 보세요. |
|
|
+ 프라다X유네스코 = 푸른 바다 저 멀리 넘실거리는 미래 |
|
|
고급 패션 기업 프라다 (PRADA)는 2019년부터 유네스코 정부간해양학위원회 (IOC)와 함께 젊은 세대에게 해양 문해력(ocean literacy)을 보급하고 그들로부터 바다 보존을 위한 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시 비욘드(SEA BEYOND)’를 운영해 오고 있어요. |
|
|
2023년부터는 교육 분야를 넘어 과학 연구 보급과 인도주의적 프로젝트 지원이라는 두 가지 새로운 분야에 초점을 맞춰 활동 범위를 더욱 넓히기로 했는데요. 여기에는 정보 접근성과 교육, 문화 보급 비영리단체인 ‘국경 없는 도서관 (Bibliothèques Sans Frontières)’도 새 파트너로 참여키로 했어요. 이번 합의를 통해 프라다는 자사의 나일론 재활용 브랜드인 리-나일론 콜렉션 (Re-Nylon Collection)의 수익 1%를 시 비욘드 프로그램에 투입할 예정이고, 올해에만 56개국 184개 중·고등학교에서 34,385명의 학생들이 해양과 기후의 상호 관계 및 관련 환경 문제에 초점을 맞춘 교육을 받게 된다고 해요. ‘우리가 원하는 바다를 만드는 데 필요한 과학 (The Science We Need for the Ocean We Want)’을 비전으로 삼고 지속가능한 해양 환경을 만들기 위해 국가 간 과학 연구 협력을 모색하는 유네스코-IOC에게, 넓고 푸른 바다를 가슴에 품은 미래세대의 지식과 참여는 정말 큰 힘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
|
|
알쓸U잡 더보기
ESD? ESG? 그리고 그린워싱
예전에는 기업의 환경 및 사회공헌 활동이 주로 회장님들의 ‘통큰 기부’로 갈음되었다면,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더욱 높아진 21세기 들어서는 기업들의 그러한 활동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특히 지속가능성에 관심이 큰 소비자의 숫자가 많아지면서 단순한 기부나 캠페인이 아닌, 기업 활동 전반에 대해 도의적·윤리적 책임을 인식하는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중요한 화두로 자리잡았고, 최근에는 환경과 지배구조에 이르기까지 이를 더욱 확장시킨 ESG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가 기업의 대표적인 비재무적 지표로 각광받고 있는 상황이에요. 이렇게 ESG가 유명세를 타다 보니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가끔 ESD와 ESG를 혼동하는 친구들의 목소리를 접하기도 하는데요. ‘지속가능발전교육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을 뜻하는 ESD는 ESG와 다르다는 사실을 이 기회를 빌려 알려드립니다😊. 물론 ESD를 통해 행동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실천하는 친구들이 많아진다면, 더 많은 기업이 ESG를 무시하지 못하게 된다는 측면에서 ESD는 ESG 확산의 촉매제가 될 수 있을 거예요. 뿐만 아니라 ESD는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환경 소비자들의 지갑만 노리는 일부 기업의 ‘그린워싱( green washing; 기업이 실제로는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제품을 생산하면서도 광고 등을 통해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내세우는 행위)’을 날카롭게 분별해 내는 힘도 길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여요. |
|
|
🎙️ 유네스코 Talks | 인사이트가 필요하다면? 유네스코가 만난 전문가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
|
AI 시대의 내 일자리, 두려워하거나 준비하거나 |
|
|
인공지능(AI)은 우리에게 새로운 위협일까요, 아니면 또 다른 기회일까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영화나 소설 속에서나 해봄직한 이러한 고민은 이제 정말 우리 모두의 고민이 되었습니다. 직장에서, 그리고 이 사회에서 인공지능이 열고 있는 새로운 기회를 붙잡기 위해 우리 모두에게 꼭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지난해 11월 인공지능 및 윤리에 관한 유네스코 기업위원회 (UNESCO's Business Council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thics)가 개최한 웨비나에서 그 해답 중 일부를 엿볼 수 있었습니다. 생성형 AI 시대의 일을 주제로 네 번째로 개최된 이번 웨비나의 패널 중에는 마이크로소프트 필란트로피즈 아메리카 지역 디렉터인 호르헤 셀라 (Jorge Cella)가 있었는데요. 그의 발표와 질의응답 중에서 우리에게도 의미가 있고 흥미로운 부분을 추려 문답 형식으로 재구성해 보았습니다. |
|
|
+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의 업무를 대체하는 일이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우리 직업의 미래는 어떻게 될지가 일단 궁금하지 않을 수 없는데요. |
|
|
제 직책이 직책이니만큼 ‘직업의 미래’에 관한 질문을 늘 받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말해 저도 몰라요. 아무도 모를 거라 생각해요. 이것은 마치 15세기 사람에게 21세기 직업의 미래를 묻는 것과 같기 때문이에요. 다만 이 분야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두 가지를 말할 수 있겠습니다. 첫째로는 예전엔 상상할 수도 없었던 어마어마한 양의 정보를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처리하는 일이 개인 단위에서, 그것도 거의 무료이거나 아주 저렴하게 가능해졌다는 점을 들 수 있어요. 전에는 대학교나 정부 기관, 기업의 연구소쯤 돼야 이 정도 성능의 컴퓨터를 쓸 수 있었어요. 하지만 이제는 누구든지 클라우드로 이러한 컴퓨터에 접속해 비용 걱정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됐죠. 또 다른 큰 변화는 바로 생성형 AI의 등장이에요. 이 기술 덕에 개인은 슈퍼컴퓨터가 미리 처리해 놓은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손쉽게 활용해 필요한 프로젝트를 직접 수행할 수 있게 됐어요. 이 두 가지가 지금 가장 큰 변화와 새로운 도전을 만들어 내고 있어요. |
|
|
+ 이러한 변화 앞에서 개인이 갖춰야 할 능력은 무엇일까요?
|
|
|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데 중요한 것은 ‘어떤 질문을 하는가’예요. 인공지능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 재료, 즉 엄청난 양의 데이터와 통계를 바탕으로 우리에게 ‘그럴 법한 대답’을 내놓아요. 그렇기 때문에 질문자는 무엇보다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를 갖고 질문을 던지고, 또한 그 답을 읽어낼 수 있어야 해요. 일기예보를 예로 들어 보면 이해하기 쉬울 겁니다. 일기예보가 틀릴 확률이 얼마나 된다고 생각하나요? 답은 ‘결코 틀리는 법이 없다’입니다. 그게 무슨 소리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그렇습니다. 가령 일기예보에서 ‘내일 비 올 확률 90%’라고 했으면, 설령 비가 오지 않더라도 일기예보는 비가 내리지 않을 10%의 확률을 맞춘 셈이기 때문이에요. 말장난 같나요? 하지만 이것이 바로 지금 인공지능이 내놓는 ‘답’이고, 우리에게 비판적 사고가 필요한 이유예요. 비 올 확률 90%라는 일기예보를 듣고 우산을 챙길지 말지 ‘결정’해야 하는 건 결국 우리 자신이거든요. 우산을 챙기지 않기로 결정하고는 비가 온다고 일기예보를 비난할 수 없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예요. 인공지능도 이와 같아요. 인공지능은 여러분이 엄청 많은 일을 하게 도와주는 일종의 부조종사예요. 그것은 어디로 가야 할지, 어떤 속도로 가야 할지 조언해 줄 수 있지만, 결정은 바로 조종사인 여러분의 몫이죠. 그 결정을 인공지능에게 미루어선 안 되고, 올바른 결정을 내리기 위해 비판적 사고가 중요해요. |
|
|
+ 인공지능의 역할이 어디까지나 ‘부조종사’라면, 인간의 일을 빼앗기보다는 인간의 역량을 강화시켜 줄 것이란 뜻일까요?
|
|
|
맞습니다. 인공지능의 시대에 인간의 업무가 어떤 식으로 바뀔지는 정말 알 수 없어요. 그렇다고 지금 우려하는 것처럼, 예컨대 인공지능이 교사의 역할을 완전히 대체하는 일이 일어날 거라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오히려 인공지능은 개별 교사가 수업을 준비하고 그와 관련된 일을 처리하는 능률을 높여줄 거예요. 수업을 준비하고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예재를 만드는 일 등을 생성형 AI가 보조하면서 교사의 생산성을 약 45% 올려줄 거라는 분석도 있어요. 소프트웨어 개발도 마찬가지예요. 생성형 AI가 스스로 코딩도 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인간 개발자의 역할이 사라지지는 않을 거예요. 오히려 코딩에 관해 더 많이 아는 개발자일수록 AI을 활용해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죠. 예를 들어 초보 개발자라면 인공지능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이 20-30% 정도겠지만, 숙련된 개발자라면 그 폭이 50-60%에 이를 거예요. 한마디로 인공지능은 우리를 대체하기보다는 도울 겁니다. 다만 그렇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리 각자가 준비를 해야 해요. 예컨대 생성형 AI 활용법 같은 것들은 이미 다양한 언어로 무료로 공개된 것이 적지 않아요. 이런 것들을 활용하는 등의 준비를 반드시 해야 합니다. |
|
|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라는 두려움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 같아요. 막연한 두려움을 갖기보다 생산적인 준비를 하기 위해 필요한 일은 무엇일까요?
|
|
|
인공지능과 같은 신기술이 우리 일자리를 파괴할지, 혹은 더 많이 만들어 낼지에 대한 제 대답은 언제나 ‘둘 다’입니다. 사실 기계가 인간의 일을 대신해 온 것은 기계가 처음 만들어진 순간부터 있어왔던 일이잖아요. 지금까지 진행돼 왔고, 앞으로도 마찬가지예요. 전혀 새로운 일이 아니죠. 따라서 중요한 것은 우리가 여기에 대해 ‘어떻게’ 준비를 하느냐입니다. 유네스코를 비롯해 유네스코의 사업에 참여하는 주체들의 활동이 그래서 더 중요하죠. 오늘날의 일자리 문제는 기회의 부족이 아닙니다. 사실 기회는 너무나 많고, 이 기회를 ‘누구든지’ 붙잡을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게 중요해요. 두려워하지 말고, 준비를 하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나이도 결코 중요치 않아요. 오히려 앞서 강조한 ‘비판적 사고’의 측면에서는 다양한 경험을 갖춘 고령자가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도 있어요. 어디에 있든, 어떤 환경에 있든, 우리 인간 모두는 엄청난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고, 기술은 이러한 잠재력을 실질적인 것으로 바꾸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합니다. 각자가 창의력을 구체화하고 아이디어를 내다 팔 수 있도록 말이지요. 다시 말하지만 가장 중요한 열쇠는 모두가 함께 그 준비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에요. 그렇게 될 때 기술은 인간을 돕고, 또한 모두 함께 풍요로워질 수 있을 것입니다. |
|
|
전국 485개 유네스코학교 선생님과 교육 관계자들이 모여 ‘공존을 위한 교육, 협력과 연대의 학교’를 만들기 위해 머리를 맞댔어요.
유네스코의 주요 이슈를 선별해서 정부에 제안하는 일, 그리고 세계유산 동향 연구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있다면 달려와주세요!
|
|
|
새롭게 태어난 유네스코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딱 10초만 시간을 내서 피드백과 후기를 보내주세요!
구독자 여러분에게 더 가까이 가기 위해 노력할게요! |
|
|
▶︎ 링크를 복사해 주변의 친구와 가족, 지인들에게 유네스코 뉴스레터를 소개해주세요.
|
|
|
서울 중구 명동길(유네스코길) 26 유네스코회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