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네스코뉴스 12월호가 찾아왔습니다.📬 어느새 한해를 마무리하는 마지막 달, 잘 보내고 786호(2021년 12월) 웹에서 보기 | PDF로 보기 | E-book으로 보기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네스코뉴스 12월호가 찾아왔습니다.📬 어느새 한해를 마무리하는 마지막 달, 잘 보내고 계신가요? 지난달 프랑스 파리에서 오랫만에 대면으로 열린 제41차 유네스코총회에서는 차기 사무총장 선출부터 유네스코 창설 75주년 행사, AI윤리와 오픈사이언스에 관한 권고 채택을 비롯한 풍성한 이슈가 있었는데요, 그 현장의 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UNESCO 이번호 커버스토리 75년을 넘어, 다시 이어가는 유네스코의 모험 🌏 11월 9일부터 24일까지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제41차 유네스코 총회가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서 오드레 아줄레 현 사무총장은 다음 4년 간 유네스코를 이끌 리더로 한 번 더 선출됐고, 모처럼 같은 공간에 모인 회원국들은 유네스코 창설 75주년을 한 목소리로 축하했습니다.👏🏼 회원국들은 이와 더불어 인공지능(AI)과 오픈사이언스에 관한 두 권고를 채택함으로써 과학계의 발전 방향을 보다 인간적이고 포용적으로 이끌 중요한 이정표도 마련했습니다. 기고 | 출범 50주년 맞은 인간과 생물권(MAB) 프로그램 지속가능한 미래 건설을 위한 중요한 도구🌲 주재관서신 | 제41차 유네스코 총회 현장 이모저모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더욱 빛날✨ 유네스코의 가치와 정신 현장스케치 | 제5차 유네스코 학습도시 국제콘퍼런스(ICLC) 팬데믹 속 열띤 논의,
평생학습📚 길잡이 역할로 이어지길 제5차 유네스코 학습도시 국제콘퍼런스(ICLC)가 지난 10월 27일부터 30일까지 인천시 연수구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렸습니다. 64개국 229개 유네스코 글로벌학습도시 네트워크(GNLC) 회원도시장과 관계자가 포함된 2300여 명의 참가자들은 온·오프라인을 통해 ‘대응을 넘어 새로운 도약으로-학습을 통한 건강하고 회복력 있는 도시 구축’이라는 주제로 코로나19 시대의 평생학습과 도시의 역할을 고민했습니다. ▶︎ 기사 읽어보기 청년기자단 | 2021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청년기자단 일동 “나 자신과 유네스코를
더 사랑💕할 수 있었던 시간” 이번달 청.기.백.기(청년 기자단의 백 가지 기록)에서는 올해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홍보 활동과 『유네스코뉴스』 청년기자단 지면 제작에 참여하며 다양한 활동을 펼친 네 명의 청년기자(기경민, 박재환, 정한비, 이민주)들이 그간의 활동을 마무리하는 소감을 셀프인터뷰🎤 형식으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 기사 읽어보기 "가난에서 벗어나 희망을 갖는 것이 정말 불가능한 일일까요? 교육만이 아이들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유일한 희망입니다. 글을 알면 질병을 이길 수 있고 기술을 배우면 일이 생기고 책을 읽으면 꿈이 생기니까요. 희망을 주셔서 고맙습니다." - 이영애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친선대사 - 이번호 <유네스코뉴스> 웹진은 어떠셨나요? <유네스코뉴스> 웹진이 구독자 여러분들과 더 가까이 가기 위해 의견을 받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피드백은 큰 힘이 됩니다! 🙌 ▶︎ 링크를 복사해 주변인들에게 <유네스코뉴스> 웹진을 소개해주세요 ▶︎ 지금까지 발송된 <유네스코뉴스> 웹진을 볼 수 있어요. https://page.stibee.com/archives/61123 ▶︎ 수신거부는 여기를 눌러주세요.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서울시 중구 명동길(유네스코길) 26 유네스코회관 news@unesco.or.kr |
미래를 준비하는 지식, 유네스코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