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네스코뉴스 11월호가 찾아왔습니다. 🍂 팬데믹 위기를 지나면서 경기 침체와 사회 불안을 경감하기 위한 고민들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와 주장도 활발해지고 있는데요. 이번호에서는 유네스코 포용정책연구소가 소개하고 있는 기본소득에 대한 여러 자료와 관점을 통해 이 이슈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785호(2021년 11월) 웹에서 보기 | PDF로 보기 | E-book으로 보기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네스코뉴스 11월호가 찾아왔습니다. 🍂 팬데믹 위기를 지나면서 경기 침체와 사회 불안을 경감하기 위한 고민들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와 주장도 활발해지고 있는데요. 이번호에서는 유네스코 포용정책연구소가 소개하고 있는 기본소득에 대한 여러 자료와 관점을 통해 이 이슈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Ashkan Forouzani on Unsplash 이번호 커버스토리 기본소득의 여러 얼굴 👤 포용적인 사회 건설이 극단주의와 폭력, 그리고 편견과 혐오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중요한 선결조건 중 하나라는 점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습니다. 따라서 여러 관련 단체들과 더불어 유네스코는 포용적 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방편 중 하나로서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와 연구에 참여하거나 이를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습니다. 🔍 찬성 혹은 반대에 앞서 그것을 철저히 살펴보고 가능한 다양한 선택지를 생각해 보는 것은, 특히 ‘아이디어의 실험실’임을 자처해 온 유네스코의 당연한 책무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현장스케치 | 2021 국제보호지역 관리자 역량강화 워크숍 지속가능한 국제보호지역🌿을 위한
전 세계 관리자들의 학습장 유네스코 카테고리2센터인 ‘글로벌 국제보호지역 연구·훈련센터’가 내년에 제주도에서 개관을 앞두고 있습니다. 국제보호지역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연구 및 훈련 활동을 지원할 본 센터의 개관을 앞두고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을 받아 2019년부터 일련의 시범 프로그램을 개최해 오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지난 9월 29일부터 사흘간 제주특별자치도, MAB한국위원회와 함께 온라인으로 개최한 ‘2021 국제보호지역 관리자 역량강화 워크숍’의 내용을 전합니다. ▶︎ 기사 읽어보기 현장스케치 | 2021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데이 “디지털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건 우리뿐이잖아요” 참가후기 | 2021 한일교직원 온라인 교류 편견을 넘어 인권과 평화🕊에 공감하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교육부 및 일본 문부과학성과 협력해 유네스코아시아문화센터와 공동으로 7월 17일부터 10월 16일까지 ‘2021 한일교직원 온라인 한일교사대화 프로그램’을 실시했습니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음에도 상대국에 대한 관심과 열정으로 소중한 교류의 장을 열었던 행사에 참여한 선생님의 후기를 전합니다. ▶︎ 기사 읽어보기 국제개발협력 | 브릿지 인도 2020 사업 결과 보고 인도🇮🇳의 내일을 기대하며 "가난에서 벗어나 희망을 갖는 것이 정말 불가능한 일일까요? 교육만이 아이들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유일한 희망입니다. 글을 알면 질병을 이길 수 있고 기술을 배우면 일이 생기고 책을 읽으면 꿈이 생기니까요. 희망을 주셔서 고맙습니다." - 이영애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친선대사 - 이번호 <유네스코뉴스> 웹진은 어떠셨나요? <유네스코뉴스> 웹진이 구독자 여러분들과 더 가까이 가기 위해 의견을 받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피드백은 큰 힘이 됩니다! 🙌 ▶︎ 링크를 복사해 주변인들에게 <유네스코뉴스> 웹진을 소개해주세요 ▶︎ 지금까지 발송된 <유네스코뉴스> 웹진을 볼 수 있어요. https://page.stibee.com/archives/61123 ▶︎ 수신거부는 여기를 눌러주세요.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서울시 중구 명동길(유네스코길) 26 유네스코회관 news@unesco.or.kr |
미래를 준비하는 지식, 유네스코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