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학의 세계화, 유네스코도 할 말 있어요! 🏛️ 알쓸U잡 | 알아두면 어디서든 쓸 데 있는 유네스코 잡학지식 이야기 |
|
|
지난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 시청에서 열린 노벨상 축하연 단상에 오른 한강 작가는 특유의 수줍은 듯 차분한, 맑고도 또 단단한 목소리로 짤막한 수상 소감을 영어로 말했습니다. |
|
|
“⋯ 가장 어두운 밤에도 언어는 우리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를 묻고, 이 행성의 모든 생명과 인간이 각자의 관점에서 상상해 보기를 요청하며, 모두를 연결합니다. 따라서 언어를 다루는 문학은 일종의 체온을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문학을 읽고 쓰는 행위 역시, 생명을 파괴하는 그 어떤 행위에도 반대할 수밖에 없습니다⋯.” |
|
|
그의 말대로 언어는 우리가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도록 하고 우리를 연결해 줍니다. 그리고 언어를 통해 우리가 연결되는 길목에는, 서로 다른 언어의 바다 위에 다리를 놓아주는 번역(통역)이 있죠. 고유한 질문과 관점으로 가득찬 각각의 세상들을 타인이 들여다볼 수 있게 하고 마침내 하나로 이어지도록 만드는 일. 그래서 유네스코는 번역을 서로 다른 세상을 이어주는 일이라고도 했습니다. |
|
|
+ ‘한국’이라는 세상을 세계에 알린 번역 사업 |
|
|
생소하고 알려지지 않은 세상을 들여다보고 그것을 나의 언어로 이해하게 될 때, 우리는 비로소 그것을 사랑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러니 인간의 마음 속에 평화의 방벽을 쌓고자 하는 유네스코는 일찍부터 번역 사업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유네스코는 설립되자마자 1930대부터 국제 연맹이 수집하고 있던 전 세계 번역 데이터베이스 색인인 ‘ Index Tranmslationum’을 넘겨받아 운영했고, 1960년대에는 소수의 주류 언어들의 위세에 눌려 점점 사라져가고 있는 소수언어 민족의 문학작품 번역사업도 시작했습니다. 본부의 이러한 사업 추진에 발맞춰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역시 한국 문학을 세계에 소개하는 사업을 추진했는데요. 1965년 8월 유네스코 회관에서는 ‘한국문학번역협회(가칭)’ 창립식이 열려 피천득, 주요섭, 백낙청 등 13명의 회원들이 한국 문학을 외국어로 번역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세계에 한국 문학을 소개하는 일은 좀처럼 쉽지가 않았습니다. 그사이 일본은 탄탄한 번역 저변을 바탕으로 다양한 작품을 세계에 알렸고, 1968년에는 가와바타 야스나리 작가가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죠. 반면 한국의 상황은 1971년 ‘스웨덴 한림원으로부터 노벨문학상 후보를 추천해 달라는 의뢰를 받고도 적당한 작품을 찾지 못해 추천을 할 수 없었다’는 내용의 기사가 실렸을 정도로 척박했습니다(조선일보 1971년 2월 16일자 7면). 해당 기사는 한국 문학 번역을 지원하는 기관 설립을 요청하는 문학계의 목소리를 전하면서도 “화려하지 않은 곳에서 한국 문학과 한국 문화를 해외에 알리려는 노력들이 끈질기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를 언급했는데요. 당시까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출판부는 『한국시(詩)선집』과 『한국사』를 번역해 내놓았고, 『한국시선집』 불어판과 『용비어천가』 번역도 진행하는 등 녹록지 않은 환경에서도 해외에 한국 문학의 역사와 현황을 알리는 데 힘써 왔습니다. 1961년 창간 이후 한국 문화를 영문으로 전 세계에 소개하면서 수십 편의 단편소설과 200여 편의 시를 번역해 온 영문 월간지 『코리아저널』의 활약도 빠질 수 없습니다.
|
|
|
1970년대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해외출판추진위원회를 통해 번역, 출간된 영문판 『용비어천가』 |
|
|
부족한 번역 기반과 한정된 재원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한국 문학 번역 사업을 추진해 오던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1970년대에 유네스코 신탁기금을 활용한 돌파구를 마련합니다. 신탁기금이란 사용처를 미리 지정하고 유네스코에 기부하는 기금인데요. 한국 정부는 1974년 6월에 한국문학번역기금 2만 달러를 유네스코에 신탁했고, 여기에 유네스코 본부가 2만 달러를 추가해서 한국 문학작품의 번역과 출판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길이 열렸습니다. 이 기금을 통해 이후 10년에 걸쳐 영문 15종, 불문 5종 등 20여 권의 한국문학집이 해외 출판사를 통해 출간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싹을 틔운 한국 문학 번역은 1992년 교보그룹의 문학 전문 재단인 대산문화재단이, 그리고 2005년 정부 주도로 한국문학번역원이 설립되면서 전 세계 독자들의 머릿속에 한국 문학의 아름다움을 전파하기에 이릅니다. |
|
|
알쓸U잡 돋보기🔍
우리 문화를 번역하는 일, 문학에만 국한되지 않아요
|
|
|
경제 성장과 더불어 전 세계에 우리나나를 더 잘 알려야 할 필요성이 커지던 시기,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한국 문학 번역 사업은 단지 문학 분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정부 및 유네스코 본부와의 협력을 통해 과거부터 현재를 아우르는 문학 작품을 번역하는 일 외에도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우리의 역사와 언어, 사상에 관한 영문 학술서적도 출간했는데요. 그 결과물로는 한국의 대표적인 민속을 사진과 함께 편집하여 출판한 『Traditional Performing Art of Korea』, 한국의 역사를 소개한 『The History of Korea』 등이 있고, 특히 한국 전통문화 연구의 전기를 마련한 『사료로 본 한국문화사』의 영문판 『Sourcebook of Korean Civilization』은 지금까지도 한국학 연구의 주요 성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1983년에는 유네스코 국제문화진흥기금(IFPC)의 재정 지원을 받아 영문판 한국전통음악자료집을 발간함으로써 범패, 아악, 산조, 주악도, 진도씻김굿 등에 대한 수준 높은 학술 연구 결과물을 소개했는데요. 당시까지 이 시리즈는 1981년에 간행된 한국 음악 자료집인 『Source Readings in Korean Music』과 함께 한국 전통음악에 관한 가장 방대한 영문 학술 단행본으로 손꼽혔습니다. |
|
|
1983년에 발간된 영문판 『한국전통음악자료집』 |
|
|
“한국 문학을 해외에 소개하면서 하려는 일은 (제비 한 마리가 아니라) 봄을 부르는 일이다.”
곽효환 전 한국문화번역원장은 이번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을 다룬 기사에서 이렇게 말했는데요. 커다란 문학상을 타는 것이 번역의 목표는 아니며, 한강 작가의 이번 수상 역시 “한국 문학이 거쳐야 할 관문이지 목표가 아니”라는 뜻이죠. 마찬가지로 유네스코, 그리고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전 세계의 소수언어 문학을 번역해 보존하고, 한국 문학과 문화의 전달에 애쓴 것도 그저 하나의 문화 사업 이상의 뜻을 담고 있습니다. 언어는 우리 각자의 생각과 마음을 표현하는 매개이며, 문학은 그 언어를 가장 세심하게 어루만져 담아놓은 그릇입니다. 한강 작가의 말대로 문학 역시 “생명을 파괴하는 그 어떤 행위에도 반대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면, 문학이라는 그릇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하나의 그릇에서 열 개, 백 개의 그릇으로 옮겨 담는 번역이라는 행위는 그 자체로 우리 마음 속에 평화의 씨앗을 옮겨 심는 일일 거예요.
2024년 12월의 겨울날,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을 다시 한번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
|
|
🎙️ 유네스코 Talks | 인사이트가 필요하다면? 유네스코가 만난 전문가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
|
지속가능발전, ‘사람’을 중심에 두는 환경정책설계로부터 시작됩니다 |
|
|
서울올림픽부터 엑스포와 인천국제공항까지 지난 약 50년간 한국의 다양한 국제 이벤트와 주요 도시 계획에 참여해 온 곽영훈 대표. 건축과 공공정책부터 평화운동, 그리고 세계시민교육에 이르기까지 그의 활동 영역은 유네스코만큼이나 넓고 깊습니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한 행동, 그리고 분열된 사회를 어루만질 포용의 마음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요즘, 그간의 경험담과 오늘날의 생각 속에서 ‘평화’를 향한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그를 만나 보았어요. |
|
|
지난 11월, 서울 명동 유네스코회관 옥상 하늘정원에서 선 곽영훈 대표.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도 인연이 깊은 그는 김여수 제16대 사무총장 시절(2000.10~2004.10)에 이곳 유네스코회관 옥상에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산들이 온전히 보이는 옥상정원을 만들라고 제안한 바 있다고 한다. |
|
|
+ 대표님, 안녕하세요. 인터뷰를 준비하면서 먼저 호칭에 대한 고민이 적지 않았습니다. MIT와 하버드대에서 건축과 교육환경학을 공부하신 뒤 대학 교수와 공공기관 및 지자체 위원을 하셨고, 현재는 '사람과환경그룹'과 유엔한국협회 회장이자 세계시민기구(World Citizens Organization) 대표로도 활동 중이십니다. 심지어 태권도 유단자(9단)이시기도 하세요! ‘호칭 부자’라 해도 모자랄 것 같지 않은데, 어떻게 불러주시길 원하시는지요?
|
|
|
저를 그냥 성곽길 환경미화원으로 불러 주세요. 실제로 요즘 서울 성곽길 주변 쓰레기를 주우러 다니고 있으니까요. 저는 이 호칭이 제일 좋은데, 사람들은 다들 그건 꼭 빼고 다른 호칭으로 부르더라고요. 직업에 귀천이 없는데 호칭으로 고민할 필요는 없어요. 저는 모든 사람은 기본적으로 꽃이며 별이라고 은유적으로 생각하는데, 어느 별이 더 빛나고 어느 꽃이 더 예쁜지 가릴 수 없잖아요? |
|
|
+ 1988년 서울올림픽 주경기장과 올림픽공원 자문위원을 맡으셨고, 이후 1993년 대전 엑스포와 2012년 여수 엑스포를 준비하면서 대회장 계획가 역할을 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큰그림’을 구상하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었을 것 같은데요.
|
|
|
1962년 한국 학생 대표로 세계 학생 대표들과 함께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을 만나기위해 미국을 방문했어요. 미국의 도시들을 방문하면서 우리나라와는 너무나 다른 삶의 질의 격차를 목격했고, 그래서 이러한 어마어마한 격차의 원인에 대해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게 되었어요. 이를 극복하고 나라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비상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죠. 글로벌 이벤트 유치는 그러한 전략의 일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고,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어떤 멋진 건물을 짓는 것을 넘어, 도시와 지역계획과 국가계획이 연계되고 확장되는 전략적 국가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확신했어요. 그래서 이 모든 밑그림을 그리는 데 필요한 분야들을 정말 열심히 공부했어요. 그래서 지난 2000년에 저를 인터뷰한 「보스턴 글로브(Boston Globe)」에서 표현했듯 ’애플(A.P.P.L.E.)’, 즉 Architect(건축가), Planner(도시계획가), Political scientist(정치학자), Landscape architect(조경가), Educator(교육자)가 된 거예요. |
|
|
저는 이러한 세계적인 이벤트를 준비하면서 자신에게 이런 질문을 던졌어요. ‘우리가 이 행사를 무엇을 위해 하는가’, ‘전 세계를 아우르는 주제로 무엇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질문이었죠. 그 결과 동서 이념의 벽 (Ideological Wall)을 허물겠다는 주제가 떠올랐어요. 1988년 서울올림픽을 통해 그러한 벽을 정말로 허물었고 그 결과를 실제로 인정받기도 했습니다. 미국의 원자폭탄 계획을 추진했던 핵과학자 그룹을 중심으로 시카고 대학에서 고안한 인류의 위기 지표, 즉 ' 운명의 날 시계(Doomsday Clock)'는 서울올림픽을 기점으로 1990년 독일 통일, 1991년 냉전 종식에 이르기까지의 기간 동안 인류 종말의 시간이 17분이나 늦춰지면서 2차대전 이후 가장 평화로운 시기였음을 보여주고 있어요. 그 뒤를 이어서 1993 대전 엑스포에서는 앞으로 우리가 나아갈 과학기술의 길 (Technological Way)을 찾고 보여주고자 했고, 2012 여수 엑스포에서는 그렇게 벽을 허물고 찾은 길을 통해 전 세계에 지식을 전파 (Epistemological Wave)한다는 주제를 제시했죠. Wall-Way-Wave로 개념이 체계적으로 연결되면서, 나아가 K-Culture로서 우리나라가 전 세계 시민들에게 전달됐다고 생각해요. |
|
|
지구 멸망 시각을 자정으로 두고, 자정까지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통해 인류의 위기 상황을 알려주는 '운명의 날 시계'의 시간 변화 흐름 (곽영훈 대표 제공) |
|
|
+ 말씀하신 대로 우리나라는 다양한 국제 이벤트를 개최하면서 우리의 국가발전 정책 설계와 실현력을 증명했고 이제 어엿한 선진국 반열에 올랐습니다. 그 과정에서 교육이 했던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 같은데요. 이제 미래를 대비해야 하는 시점에서 우리 교육 역시 새로운 ‘설계’가 필요할 것도 같습니다. 어떤 방향에서 고민을 해 보아야 할까요?
|
|
|
제가 다방면, 다차원의 국가발전 환경 설계와 정책 계획 공부를 하고 올림픽과 엑스포 같은 행사 주최와 국가 발전 전략에 기여하며 성공했습니다만 그 과정은 참 힘들었습니다. 정부 내에서마저 저를 비난하고 반대하는 목소리를 들을 때는 요새 청년들이 쓰는 단어인 ‘중꺾마’ 정신으로 더욱 분발했지요. 이런 개인의 삶, 꿈, 일 속의 직접 경험에 비추어 한국 교육의 방향을 몇 가지만 짚어 볼게요.
먼저 학제적(学際的, transdisciplinary)으로 개개인의 소질에 맞게 교육받을 수 있는 학위 시스템이 생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세상 속에서 모두가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 제도가 설계되면 좋겠어요. 다음으로 이제 우리는 '세계시민'임을 알고 이를 위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저는 이것을 표현하고자 ‘지정과문경학(地政科文經學, Geopolitechculnomics)적 사고’라는 말을 만들었어요. 즉 지리(지정학)와 정치, 과학기술, 문화, 경제를 하나로 아우르면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각자의 소질을 길러내는 교육이 되면 좋겠다는 뜻이에요. 더 욕심을 낸다면, 각기 다른 믿음과 국적에 기반해 서로를 갈라놓은 경계를 뛰어넘는다는 ‘초월(超越)’의 개념을 넘어, 서로를 인정하자는 개념을 담아 만들어 본 ‘포월(包越)’의 정신도 제안하고 싶어요. 국가와 종교나 이념 등으로 인한 인류의 분열과 반목이 증폭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인성 교육이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꼭 필요하다고 봅니다.
|
|
|
+ 올림픽과 엑스포 등을 준비하시면서 가졌던 고민과 지금 이 시점에서 우리나라에 대해 갖고 계신 고민은 또 다를 것 같습니다. 수도권으로의 지나친 인구 집중, 이와 반대로 지방에서 일어나고 있는 인구 절벽 현상, 그리고 우리나라 전체에서 일어나고 있는 저출생 고령화 문제에 이르기까지, 2024년의 우리나라가 도시와 인간의 공존을 위해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
|
|
|
현 시점에 매우 적절한 질문이네요. 환경 정책을 통해 우리의 삶터를 설계하는 것은 국가경영의 제1순위입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보면 이제 자연 환경을 바꿔가면서 인간 척도(human scale)에 맞지 않는 고층 콘크리트 아파트를 대규모로 짓는 것을 우선 그만해야 합니다. 다 아시겠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는 문명을 담는 그릇이고 ‘유기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해요. 그리고 도시는 물리 공간적인 환경만이 아니라 사회경제적 환경, 역사문화적 환경, 시각·미각적인 환경과 자연생태적 환경을 모두 아울러 보아야 합니다. 가족-집-동네-도시-나라로 이어지는 전체적인 행복을 고민하면서 서로 잘 어울리고 지속가능한 환경 설계를 해야지요. 그리고 대한민국은 이제 ‘하루 생활권’입니다. 무조건 도시로 모일 게 아니라 전국 각지의 내가 원하는 곳에서 집을 짓고 동네를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 조선과 건축 기술이 발달 되어 해역(海域)에도 새로운 집과 동네를 지을 수 있어요. 사람 살기 좋은 곳으로 상상의 나래를 펴 볼 수 있습니다. |
|
|
+ 설계에서부터 정책적 의지의 발현,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행정과 시행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이 우리 ‘환경’을 더 좋게 만드는 데 중요하지만, 결국에는 ‘사람’을 중심에 두고 모든 고민을 하고 계시다는 뜻으로 들립니다. 마지막으로 오늘날까지 우리나라를 이끈 모든 세대들에게, 그리고 미래를 이끌어 갈 청년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
|
|
사람을 중심에 두지만 환경과 평화도 늘 함께 생각하고 일하며 살았어요. 사실 우리나라가 지금의 풍요를 누릴 수 있는 이유, 전 세계 사람들이 ‘한강의 기적’이라고 부르는 발전을 이룩한 것은 다름 아닌 ‘대한국인’입니다. 대한국인들이 스스로 이룩한 것이에요. 지금 전 세계 한류의 열풍을 보세요. K-팝, K-무비, K-드라마, K-뷰티, K-푸드, K-패션, 그리고 최근 K-문학까지 너무나 자랑스럽습니다. 이렇게 우리 대한국인들이 해낸 일을 정치가 잘 도와주었다는 생각은 들지 않아요. 바로 지금의 정치 상황에서 보듯, 오히려 발목을 잡는 경우도 많았죠. 그러니 앞으로 우리 청년들이 우리나라의 발전을 더욱 고민하고 이끌어 주세요. 사람 살기 좋은 곳, 세계인이 오고 싶은 곳으로 될 수 있도록 초록빛 백두대간 녹지축이 다 연결되고, 사람이 걷는 길이 모든 동네까지 잘 연결되면 좋겠습니다. 부탁합니다. |
|
|
이번 유네스코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딱 10초만 시간을 내서 피드백과 후기를 보내주세요!
구독자 여러분에게 더 가까이 가기 위해 노력할게요! |
|
|
▶︎ 링크를 복사해 주변의 친구와 가족, 지인들에게 유네스코 뉴스레터를 소개해주세요.
|
|
|
© 2024 유네스코한국위원회 All rights reserved
서울 중구 명동길(유네스코길) 26 유네스코회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