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이미지: 인도네시아의 학교에서 마스크를 쓰고 수업을 받고 있는 학생들
Ⓒ alfawardana / Shutterstock.com |
|
|
지금 교육에는 변화가 필요할까요? 필요하다면 얼마나, 어느 정도로 바꿔야 한다는 것일까요? 유네스코가 지난해 발간한 ‘교육의 미래 보고서’는 그러한 질문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을 다양한 영역에 걸쳐 제시하는 유용한 안내서입니다. 지난 9월 유엔 교육정상회의에서 유네스코는 방대한 보고서의 논점 중에서 ‘연결’과 ‘녹색’, ‘포용’의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각국 관계자들에게 교육 변혁을 위한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당부했습니다.
|
|
|
현장스케치 | 유네스코 세계문화정책회의 2022
문화의 미래를 미리 만나다🤝 |
|
|
9월 28일부터 30일까지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세계문화정책회의(MONDIACULT 2022)가 열렸습니다. 회의에 참가한 각국의 문화 장관과 문화예술 분야 시민사회단체 및 기구 등은 3일간의 논의 끝에 멕시코선언을 채택하고 글로벌 공공재로서 문화의 다양성과 공공성, 그리고 지속가능성을 지켜 나가기 위해 협력하며 함께 노력을 기울일 것을 다짐했습니다.
|
|
|
현장스케치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과학기술포럼
|
|
|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한국공학교육학회, 한국경제신문이 공동 주최한 ‘SDGs 달성을 위한 과학기술포럼’(이하 SDGs 포럼)이 10월 1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렸습니다. 한국경제신문이 매년 개최하는 ‘글로벌 ESG 포럼’과 연계해 진행된 이번 포럼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성공적인 달성에 있어 과학기술의 중요성과 가치를 널리 알리고자 마련됐습니다.
|
|
|
참가후기 | 제16차 동북아 생물권보전지역 네트워크 회의
끝없는 초원에서 생각한 인간과 자연의 공존🌱 |
|
|
제16차 동북아 생물권보전지역 네트워크(East Asian Biosphere Reserve Network, EABRN) 회의가 ‘(포스트) 팬데믹 시기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위한 생물권보전지역’을 주제로 2022년 10월 3일부터 7일까지 몽골에서 열렸습니다. 2015년부터 MAB(Man and the Biosphere, 인간과 생물권) 한국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유철인 교수의 후기를 전합니다.
|
|
|
국제개발협력 | 브릿지 세종 스리랑카 프로젝트
|
|
|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한국 정부의 지원으로 제정한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수상한 기관들과 함께 지난해부터 스리랑카, 요르단, 우루과이, 파키스탄 등 4개국에서 교육개발협력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 그중 2015년 세종대왕 문해상을 수상한 스리랑카 국립교육원의 ‘오픈 스쿨’(Open School) 사업 현장 소식을 전합니다.
|
|
|
현장스케치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개발협력 사업‐2022 진주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
|
|
|
물과 젠더 특집 ➌
물 분야 성평등 향상 사례
|
|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 특화교육 프로그램
지속가능발전은 생물다양성을 제대로 아는 것에서부터
|
|
|
유네스코 ‘Dream 드림 캠페인’ 참여 교사 후기
도서 기부를 통해 배운 나눔의 가치
|
|
|
"가난에서 벗어나 희망을 갖는 것이 정말 불가능한 일일까요?
교육만이 아이들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유일한 희망입니다.
글을 알면 질병을 이길 수 있고 기술을 배우면 일이 생기고 책을 읽으면 꿈이 생기니까요.
희망을 주셔서 고맙습니다."
- 이영애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친선대사 - |
|
|
이번호 <유네스코뉴스> 웹진은 어떠셨나요?
<유네스코뉴스> 웹진이 구독자 여러분들과 더 가까이 가기 위해 의견을 받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피드백은 큰 힘이 됩니다! 🙌 |
|
|
▶︎ 링크를 복사해 주변의 친구와 가족, 지인들에게 <유네스코뉴스> 웹진을 소개해주세요
|
|
|
|
서울시 중구 명동길(유네스코길) 26 유네스코회관
news@unesco.or.kr |
|
|
|